전차 경기장

베스트 샷 2013. 8. 28. 13:08

 

 

 

더 여러 장의 사진

 

http://landart.tistory.com/831

 

'베스트 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이타 동굴  (0) 2013.09.05
베이루트  (0) 2013.09.05
해안 성채  (0) 2013.08.28
성 요한 성당  (0) 2013.08.22
지중해 일몰  (0) 2013.08.22
Posted by landart
,

해안 성채

베스트 샷 2013. 8. 28. 13:01

 

 

더 여러 장의 사진

 

http://landart.tistory.com/830

 

'베스트 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루트  (0) 2013.09.05
전차 경기장  (0) 2013.08.28
성 요한 성당  (0) 2013.08.22
지중해 일몰  (0) 2013.08.22
바스타키야  (0) 2013.08.19
Posted by landart
,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역사 유적 1001

안자르 유적 [ Ruins of Anjar ]

  • 대륙

    아시아

  • 위치

    레바논>베카아 계곡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1984년

  • 저자

    루신다 혹슬리

우마이야 왕조가 세운 도시가 남긴 훌륭한 자취

태양이 비치는 레바논 하늘을 배경으로 헐벗은 해골처럼 서 있는 이 웅장한 유적은 이 지역의 역사를 돌이켜 보게 해 주는 흥미진진한 흔적이다. 오늘날 안자르의 인구는 주로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을 때 프랑스가 데려온 아르메니아 이민자로 이루어져 있다. 아르메니아인이 도착했을 때, 도시는 인적 없고 황량한 사막과도 같았다. 피난민은 텐트 안에서 살았으며 많은 사람들이 질병과 굶주림으로 죽었다. 그 이후 그들은 안자르를 고향으로 삼아 다시 녹색이 감도는 경작 지역으로 바꾸어 놓았다.

안자르의 전성기는 우마이야 왕조 시대(660~750)였다. 칼리프 왈리드 1세가 이 도시를 지었으며 곧 번영하는 떠들썩한 도시가 되었고, 6천 개 이상의 상점이 들어선 극히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우마이야 왕조는 안자르를 사냥 별장이자 여름의 가장 더운 몇 달을 보내기 위한 휴양처로 이용했다.

우마이야 왕조가 세운 이 도시의–주민들에게는 '게르하'라 알려져 있었다–최초 발굴 작업은 1949년에 시작되었으며 아직도 진행 중이다. 상점의 우아한 아케이드를 형성했던 높은 기둥과 늘씬한 아치 길의 유적들이 남아 있다. 목욕탕, 주택, 궁전, 모스크, 수크(무슬림 국가의 야외 시장), 잘 포장된 도로의 유적도 남아 있다. 도시는 강력한 요새 설비를 갖추고 있었으며, 아직도 웅장한 관문들과 탄탄하게 지어진 감시탑들을 볼 수 있다. 안자르는 시냇물 근처에 건설되었고, 물을 끌어오기 위해 홈통과 파이프가 설치되었다.

안자르의 건축 양식에는 토착 양식과 외부에서 들여온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성벽의 석조 세공에서는 그리스, 로마, 초기 기독교 건물이 지닌 요소를 종종 찾아볼 수 있어 옛 건축물의 자재를 재활용했으며 전리품들을 건축 양식에 통합해 넣었다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지금은 머리가 사라졌으며, 풍성한 옷을 입고 있는 것처럼 조각된 커다란 조각상이 황폐해진 유적 위로 망을 보고 있다. 가까운 곳에는 이보다 더 오래된 문명의 규모가 크게 줄어든 유적인, 로마 시대 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안자르 유적 [Ruins of Anjar]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역사 유적 1001, 2009.1.20, 마로니에북스)

 

 

 

 

 

 

우마이야 왕조 [ Umayyad dynasty , ─王朝 ]

요약
무아위야 1세가 다마스쿠스를 수도로 하여 세운 이슬람 칼리프조(661∼750).
 

우마이야 왕조는 정통칼리프 시대에 이어 아랍-이슬람 제국의 2번째 칼리프조로서, 우마이야 가문에 무아위야에 의해 세워졌다. 우마이야 가문은 예언자 무함마드와 같은 쿠라이쉬 부족에 속해있으며, 전승에 따르면 같은 조상인 압두 무나프(Abu Munaf)의 후손들이다. 예언자 무함마드는 압두 무나프의 아들 중 하쉼(Hashim)의 혈통을 이은 하쉼 가문에 속했으며, 우마이야 가문은 압두 샴스(Abd Shans)의 혈통을 이은 가문이었다. 하쉼 가문과 우마이야 가문은 메카의 정치, 경제적 주도권을 두고 경쟁관계에 있었으며, 특히 우마이야조의 제 1대 칼리프 무아위야(Mu'awiyah)의 부친 아부 소피얀(Abu Sufyan)은 무함마드의 이슬람 포교 초기에 가장 대표적인 반대인물이었다. 아부 소피얀을 비롯한 우마이야 가문은 여러 차례의 전투를 거친 끝에 이슬람을 받아들였으며, 빠르게 팽창하는 이슬람 제국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정치적, 외교적 기술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이슬람 공동체의 중심 세력으로 부상했다.

예언자 무함마드의 뒤를 이은 정통 칼리프조 말기, 이슬람 신앙의 동요와 잇따른 음모로 혼란이 거듭되었다. 제 3대 칼리프 오스만이 새벽기도 중 암살당하고, 그 암살의 배후가 밝혀지기 전에 알리가 제 4대 칼리프로 선출되었다. 그러자 오스만의 6촌 동생이자 당시 다마스쿠스 총독으로 있던 우마이야(Umayyah) 가문의 무아위야(Mu'awiyah)가 오스만의 복수를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키며 알리의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하기 시작했다. 알리는 수적인 열세에도 불구하고 무아위야군과의 첫 전투인 낙타전투(A.D. 656년)에서 승리했으며, 두번째 전투인 십핀전투(A.D.657년)에서도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그러자 불리해진 무아위야군은 협상을 요구했으며, 협상 과정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했다. A.D. 661년, 이라크 지역으로 돌아간 알리가 카와리지파에 의해 암살당하자 힘의 균형은 우마위야에게 기울었으며, 그는 분열된 이슬람 세계를 통합하는 한편 칼리프위에 올라 우마이야 왕조를 세웠다. 후에 안달루스 지방에 성립한 ‘후기 우마이야조(757-1031)’와 구별하여 이것을 ‘전기 우마이야 왕조’라고도 한다.

우마이야 왕조의 제 1대 칼리프 무아위야(A.D.661-680년 재위)는 선출로 칼리프를 뽑는 전통을 무시하고 아들 야지드(Yazid)에게 칼리프위를 세습했다. 이로서 칼리프제는 선출에 의해 지도자를 뽑던 전통적 관행을 깨고 세습제로 전환되었다. 그는 또 군사조직도 비잔틴 양식에 따른 새 편제로 바꾸었다. 이것은 강력한 중앙정권의 수립과 제국이 계속 영토확장을 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무아위야는 668년 비잔틴 콘스탄티노플 공략에 나섰다가 비록 실패에 그쳤지만 아랍-이슬람 제국의 막강한 군사력과 무슬림의 단결력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마이야 왕조의 전성기는 제 5대 칼리프 압둘 말리크와 그의 아들인 왈리드 1세 때이다. 특히 칼리프 왈리드 1세(705-715 재위) 때에는 아랍의 정복사업이 매우 활발하게 펼쳐졌다. 첫째, 이라크 동북쪽 중앙아시아 방향으로 꾸타이바 빈 무슬림 장군의 주도 하에 진행된 정복활동으로서, 705년에서 712년 사이에 이루어졌다. 그 결과 메르브, 발크, 부카라, 사마르칸트를 점령하여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지방과 옥수스 강 건너편까지 제국이 확장되었고, 이 지역이 이슬람화되었다. 둘째, 이라크 동남쪽 인도 방향으로의 원정으로, 무함마드 빈 알 까심이 맡아 하였다. 710년에서 712년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발루치스탄과 펀자브 지방까지 제국이 확장되었다. 셋째는 북아프리카 서쪽과 유럽 지역으로의 정복활동으로, 무사 빈 누사이르와 그의 부하 따리크 빈 지야드에 의해 이루어졌다. 710년에는 북아프리카 전역이 아랍-이슬람화 되었으며, 711년에는 지브롤터 해협을 건넌 아랍군에 의해 서 고트 왕국이 멸망하고 스페인 전역이 우마이야 왕조의 영토가 되었다.

한편 국내적으로는 그동안 완비된 역체제도(驛遞制度) ·밀정사찰(密偵査察)제도는 칼리프의 독재군주권을 강화하였고, 종래의 잡다한 통화(通貨)는 중앙정부가 발행한 순수한 아라비아풍의 디나르 금화(金貨)와 디르함 은화로 통일하였다. 무거운 지조(地租)의 부담을 면하기 위하여, 다수의 비(非)아라비아계 주민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마왈리[被護民]가 됨으로써 국가에 대한 세수입(稅收入)이 대폭 감소하였다. 때문에 이라크 총독 하자지는 그들을 농지로 되돌려 보내고, 당초 부담한 지조와 인두세(人頭稅:Jizyah)에 해당하는 고액의 공조(貢租)를 부과하였으므로 마왈리의 불만이 증대하였다. 특히 우마르 때 지조의무를 지닌 토지소유자가 개종할 때 그 토지는 이슬람공동체의 공유재산으로 하고 원래 소유주는 차지인(借地人)의 입장에서 경영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정책은 성공하지 못하였고 뒤에 수정된 하자지의 제도로 복귀하였다. 결국 징세(徵稅) 때문에 궁핍화한 피정복민의 울분과 호라산의 반란을 이용한 압바스가(家)의 흥기(興起)로 마침내 멸망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마이야 왕조 [Umayyad dynasty, ─王朝] (두산백과)

 

 

 

 

 

 

 

 

 

 

 

 

 

 

 

 

 

 

 

 

 

 

 

 

 

 

 

 

 

 

 

 

 

시리아가 내전 중이라 이스라엘을 돌아 시나이 반도를 거쳐 요르단 암만 공항으로 들어 갔다.

 

 

 

베스트 샷

 

http://landart.tistory.com/855

Posted by landart
,

성 요한 성당

베스트 샷 2013. 8. 22. 09:11

 

 

 

더 여러 장의 사진

 

http://landart.tistory.com/829

 

'베스트 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 경기장  (0) 2013.08.28
해안 성채  (0) 2013.08.28
지중해 일몰  (0) 2013.08.22
바스타키야  (0) 2013.08.19
버즈 칼리파  (0) 2013.08.19
Posted by landart
,

지중해 일몰

베스트 샷 2013. 8. 22. 09:06

 

 

더 여러 장의 사진

 

http://landart.tistory.com/827

'베스트 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안 성채  (0) 2013.08.28
성 요한 성당  (0) 2013.08.22
바스타키야  (0) 2013.08.19
버즈 칼리파  (0) 2013.08.19
아~ 예루살렘  (1) 2013.08.05
Posted by landart
,

 

 

 

 

 

 

 

 

 

 

레바논 산맥을 넘어

 

 

 

 

 

채석장

 

 

 

 

 

 

 

 

 

 

 

 

 

 

 

 

바알베크 [ Baalbek ]

요약
레바논의 베이루트 동북쪽 약 65km 지점에 있는 고대도시. 그리스시대 헬리오폴리스로 알려진 페니키아의 도시로 로마시대에 세워진 쥬피터 사원이 있다.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은 누구나 알지만 그보다 더 장대한 규모인 바알베크의 유피테르 신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오늘날의 레바논 즉 중동 지역에 위치해 오랫동안 잊혀져 있었던 데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불안정한 정세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해도 이곳 바알베크의 신전군은 로마 제정 시대 최대의 건축물임에 분명하며, 거대한 규모와 아름다움으로 보는 이를 압도한다. 또한 이 지역 신전들은 토착 신앙과 로마 종교가 조화롭게 결합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이든 흡수하고 받아들여서 새로운 것으로 창조하는 로마 제국의 관용과 포용력을 엿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바알베크는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동북쪽으로 약 65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곳에 있는 고대도시다. 바알베크가 위치한 베카 평원은 레바논 산맥과 안티레바논 산맥 사이에 있는 고원 지대로 땅이 비옥해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페니키아 시대부터 농경과 관련된 종교가 발달하였다. 바알베크(Baal-Bek)라는 명칭 또한 바알(Baal, 페니키아의 신)이라는 신의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기원전 4세기 이집트 프롤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바알베크의 이름은 ‘태양신의 도시’라는 의미의 헬리오폴리스로 바뀐다. 바알베크가 로마제국의 영토가 된 것은 기원전 64년이었다. 로마인들은 지역의 토착 종교를 인정하면서 로마 종교와 결합시켜 이 곳을 제국 최대의 신전군으로 발전시켰다. 물론 건축 양식에 있어서도 동서양이 혼합된 헬레니즘의 전통을 보여주고 있다.

바알베크의 신전들은 신전 터가 고르지 않아 높낮이를 맞추기 위해서 높은 단을 쌓은 것이 특징이다. 무게가 750톤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돌들이 기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바알베크에 거대한 로마 신전 건축을 최초로 시작한 사람은 바로 아우구스투스 황제다.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보다 더 큰 규모를 자랑하는 유피테르 신전이 바로 그것이다. 유피테르 신전은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직접 설계했다고 하는데, 네로 황제 때인 60년에 완성되었다. 그러나 건물은 대부분 무너져서 넓은 터와 6개의 거대한 기둥만이 남아 있다. 기둥은 높이가 20미터가 넘고 지름이 2.4미터(m)에 이르는데 원래는 54개의 기둥이 있었으며, 높이도 40미터가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신전 안뜰 중앙에는 2개의 제단이 설치되고, 좌우에는 연못이 있었다. 이 신전에는 유피테르 신 이외에도 페니키아 토착 농업 신들이 함께 안치되었다. 각각 아버지, 어머니, 아들을 상징하는 하다드(하늘과 폭풍의 신), 아타르가티스(물과 풍요의 신), 알리얀(식물의 정령 신) 세 신이 모셔졌다.

유피테르 신전 남서쪽에 있는 바카스 신전은 보존 상태가 가장 좋은 사원이다. 유피테르 신전보다 조금 늦은 2세기경에 건립되었으나, 지붕 이외에는 원형이 그래도 보존되고 있다. 신전 안에는 신상이 안치된 지성소가 있는데 이는 페니키아적인 건축 요소이다. 이외에도 3세기 초에 건립된 베누스 신전, 메르쿠리우스 신전 유적 등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3세기 중반까지 로마 황제들의 신전 건축이 계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4세기에 로마가 그리스도교 공인하고 국교로 삼으면서 신전 건설이 중단되었다. 7세기 이후에 이슬람교도의 지배를 받으면서 도시의 원래 이름인 바알베크로 불리게 되었으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중세를 지나는 동안 신전들은 관리의 손길이 없이 비바람에 풍화되어 갔다. 이후 1759년 대지진 등 여러 차례 이 지역을 덮친 지진으로 신전 유적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16세기 유럽인들이 바알베크 유적에 관심을 가졌으나, 실질적인 발굴이 이루어진 것은 20세기 초에 와서다. 반세기 이상 계속된 레바논 내전 또한 바알베크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1970년 대에는 신전 유적지가 게릴라들의 훈련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전쟁의 혼란 속에 귀중한 문화유산이 국외로 반출되기도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바알베크 [Baalbek] (두산백과)

 

파노라마

 

 

 

 

 

 

 

바커스신전 [ Temple of Bacchus ]

요약
레바논의 고대도시 바알베크(Baalbek)에 세워진 신전.

 

150년경 로마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유피테르 신전 옆에 정면 36m, 측면 68m로 거대하게 보존되어 있다. 앞뒤로 8개씩, 양옆으로 15개씩 기둥이 떠받치고 있는데 지붕을 빼면 내부가 원형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화려한 코린트식으로 지어진 벽기둥의 머리는 식물문양으로 장식되어 있고 제단은 벽감 속에 들어가 있다.

신전 안에서 바커스 신과 뮤즈 신의 조각상을 볼 수 있고 베누스 신을 상징하는 상당수의 내부 장식물이 남아 있어 그 당시 사람들이 내세 구원을 믿었던 것을 짐작하게 한다. 유피테르 신전에서 제사를 지낸 뒤 이곳에서 성대한 잔치를 벌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너편에 작지만 섬세한 비너스 신전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바커스신전 [Temple of Bacchus] (두산백과)

 

 

 

 

 

 

 

 

 

 

 

 

 

 

프로필라이온 [ propylaion ]

요약
고대 그리스의 성지 입구에 세운 문으로,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의 것이 대표적인데, 도리스식의 중후함과 이오니아식의 우미함의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아테네 ·올림피아 ·에피다우로스 ·엘레우시스 등의 모뉴먼탈한 문은 일반적으로 복수(複數)로 프로필라이아(propylaea)라고 한다. 가장 유명한 것은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의 것으로, 건축가 무네시클레스가 BC 437∼BC 432년에 건조하였다. 이 거대한 문은 도리스식과 이오니아식을 병용, 남북에 주랑익(柱廊翼)을 두고, 북익(北翼) 앞에 다시 피나코테크(繪畵收藏室)를 비치하였다. 천장은 격자인데 현재까지도 부분적으로 당시의 채색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도리스식의 중후함과 이오니아식의 우미함의 아름다운 조화는 파르테논 신전과 더불어 고대건축의 일품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프로필라이온 [propylaion] (두산백과)

 

 

 

 

 

 

 

 

 

 

파노라마

 

 

 

유피테르 신전

 

유피테르신전 [ Temple of Jupiter ]

요약
레바논의 고대도시 바알베크(Baalbeck)에 가장 거대하게 세워진 신전.
페니키아 사람들이 자신들의 태양신 바알에게 제사를 지내던 자리에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로마 신이 세계 제일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직접 설계했다고 전하며, 네로 황제 때인 60년에 완성되었다. 로마의 신인 유피테르 신과 페니키아의 농업 신들인 하다드(하늘과 폭풍의 신), 아타르가티스(물과 풍요의 신), 알리얀(식물의 정령 신) 등 세 신을 함께 모셔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신전 입구와 육각형의 앞마당, 정교하게 장식된 반원형 벤치들로 둘러싸인 가로 104.5m, 세로 103m 크기의 직사각형의 그레이트 코트(Great Court)와 신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전 건물의 크기는 정면 48m, 측면 88m로 그리스에 있는 파르테논 신전보다 크다. 직사각형의 그레이트 코트 서쪽 끝 높은 단 위에 높이 40m가 넘는 커다란 기둥 54개가 세워져 있고 신전 안뜰 중앙에는 2개의 제단과 좌우에는 연못이 있었다. 현재는 대부분 무너져 높이 18.9m, 지름 2.4m인 기둥이 6개만 남아 있다. 주변에 바커스신전, 비너스신전 등이 함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피테르신전 [Temple of Jupiter] (두산백과)

 

유피테르 [ Jupiter ]

요약
로마 신화의 최고신(最高神).
 

'주피터'는 영어 발음이다. 원래는 천공(天空)의 신이며, 그리스신화의 제우스에 해당한다. 온갖 기상 현상을 지배하며, 비와 폭풍과 천둥을 일으키는 신이다. 로마에서는 예로부터 카피톨리노언덕 위에 유피테르의 큰 신전이 건립되어 있어, 집정관(執政官:콘술)이 취임하면 우선 이 신전참배하였으며 또 원정에서 돌아온 장군의 개선(凱旋)행렬도 이 신전으로 향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었다.

'최고 최선의 유피테르'라고 불리며, 전쟁에서는 로마에 승리를 가져다주는 수호신일 뿐만 아니라, 정의와 덕을 다스리고 서약과 법률을 지키는 신으로 모셨다. 또한 미래를 내다보는 힘이 있어 인간의 미래를 여러 가지 전조(前兆)나 하늘을 나는 새의 특징을 보아 예언한다고 믿었다. 맑게 갠 보름날 달밤에 제사를 지냈는데, 흰색이 신성시되어 신관(神官)과 참배하는 집정관은 반드시 흰옷을 입었으며, 또한 흰 동물을 제물로 바쳤다. 또한 신 자신은 4마리 백마가 끄는 수레를 타고 다닌다고 여겨졌다. 여신 유노(주노)는 유피테르의 아내로 보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피테르 [Jupiter] (두산백과)

 

 

 

 

 

 

 

 

 

 

 

 

 

 

 

 

 

박물관

 

 

 

 

 

 

8월의 눈(설)

 

베스트 샷

 

http://landart.tistory.com/848

Posted by landart
,